소아 영양실조 관련 질병

캐스와 프랭키 모자 이야기

“제 아들 프랭키는 선천적으로 심장 질환을 갖고 태어났습니다. 태어나자마자 바로 몸에 튜브를 삽입해야 했죠. 저희 부부는 프랭키의 체중이 늘지 않자, 우유에 더 높은 칼로리 성분을 넣어 주었습니다. 이렇게 체중을 정상으로 유지해야 아들이 건강하고, 활발하게 자라날 수 있었습니다! 조금은 전쟁과도 같은 일이었습니다.

프랭키가 성장하기 위해서 먹는 음식은 주로 음식과 액체였습니다. 그리고 굉장히 잘 해냈습니다. 우리 아들을 일반 다른 아이들처럼 대했고, 프랭키는 일반 아이들처럼 달리고, 점프하고, 놀 수 있었습니다. 그 어떤 것도 제 아들을 막을 수는 없었습니다.”

“굉장히 놀라웠습니다. 인생 초반은 굉장히 어려웠지만, 이제 프랭키는 달리고 점프도 할 수 있습니다. 그 어떤 것도 제 아들 프랭키를 막을 수는 없었습니다.”

프랭키의 엄마 캐스 (영국)

영양부족 관련 질병으로 인한 발달 부족

아이들의 최적의 성장 및 발달은 향후 장기적 건강과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끼칩니다. 하지만 아이들이 최적의 성장 어려움을 겪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기저 질환 혹은 뇌성마비, 선천적 심장 질환(congenital heart disease, CHD), 낭성 섬유증, 간질환이나 암이 있는 아이들에게 성장 및 발달 부족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성장 미숙으로 인해 이 같은 아이들은 장단기적으로 건강 상태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아이들의 정상적 신체 발달은 올바른 영양 섭취부터 시작합니다4,5

아이들의 정상적 신체 발달은 올바른 영양 섭취부터 시작합니다8,9.

예를 들어 선천적 심장 질환 (CHD)이 있는 신생아나 수술 이전에도 저 체중인 아이들은 수술 결과가 더 안 좋거나 더 심한 경우에는 주요 수술을 미뤄야1-3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질병과 관련이 있든 없든, 선천적으로 저 체중으로 태어난 아이들은 왜소해 지거나 뇌 성장 혹은 기능이 영구적인 대체재가 필요하게 되는 등 장기적인 건강 상태가 영향을 받습니다. 이는 인지적 및 행동적 장애4-7로 이어질 수 있으며, 특수한 맞춤 영양 지원이 꼭 필요합니다.

영양의 역할

성장 장애 요인에 무관하게, 올바른 영양9,10의 공급은 필수적입니다. 위장 관련 건강 문제, 질병으로부터 더딘 회복, 감염의 위험 증가 그리고 입원 기간 증가는 제대로 된 영양을 섭취하지 못한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아이들의 질병을 최대한 조기에 발견하고, 제대로 된 영양 치료를 받고, 개인에 적합한 니즈를 파악하기 위해 아이들에게 필요한 올바른 영양을 인지하고, 성장을 지켜보는 것은 최적의 성장과 발달9,10에 매우 중요합니다.

소아 영양실조 관련 질병에서 뉴트리시아의 역할

우리는 모든 아이들이 가진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제대로 성장하고 발달 할 기회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희가 지난 30년 동안 장애가 있는 아이들을 위한 제품을 개발해온 이유입니다. 뉴트리시아의 다양한 제품들은 특수 약품 목적으로 사용되고 신생아부터 성인 그리고 노년층까지도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저희는 의료진과 다른 전문가들과 파트너십을 체결하여 아이들의 다양한 건강 상태를 관리하여 최적의 성장과 발달을 이룰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자사의 목표는 다양한 여러 특수 의료용 식품, 경장 섭취를 위한 튜브와 펌프 기기도 제공함으로써 함으로 써 장기적으로 건강하게 살도록 삶의 질을 향상하는 것입니다.

Pediatric DRM happy boy book

  1. Mehta et al. JPEN 2013: 37(4):460-481
  2. Beer et al.  Nutr Clin Practice 2015;30:609-624
  3. Kerzner et al. PEDIATRICS 2015;135(2)
  4. Beer et al. Nutr Clin Practice 2015;30:609-624.
  5. Hecht et at. Clin Nutr 2013:34:53-59.
  6. Hecht et al. Clin Nutr 2013:34:53-59.
  7. Huysentruyt et al. Nutrition 2013;29 1356-1361.
x